[사회복지정책] 욕구 : 사회적 적절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03:24
본문
Download : 욕구-사회적 적절성.hwp
∴ 주관적 desire에 의한 자원의 배분이 진정한 복지를 충족시켜 줄 가능성이 적다.
순서
Ⅰ. '욕구'와 '바라는 것'의 차이 : 욕구의 속성
Ⅱ. 욕구의 차원
Ⅲ. 욕구의 대상 : 자격
Ⅰ. ‘욕구’와 ‘바라는 것’의 차이 : 욕구의 속성 ‘욕구’(need)의 속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욕구와 유사한 개념(槪念)인 ‘바라는 것’(desire)과의 차이를 개념(槪念)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유용하다. ② goal(목표) . ┏ desire에 의한 만족 → 주관적인 이득(benefit) ┗욕구에 의한 해결 → 해악(harm)을 줄이는 것 by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 어떤 재화를 새롭게 얻음으로써 얻는 이득(효용)의 증가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재화를 잃게 됨으로써 사라지는 손실보다 작다. ③ 상대적 긴급성 측면 ┏ 상대적으로 긴급하다 : 어떤 욕구가 늦게 충족될 때 그 충족된 가치가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것. ┗ 상대적으로 긴급하지 않다 : 충족이 늦게 되더라고 감소하지 않거나 단순히 연기될 뿐. ex)┏ 아사 직전의 사람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것 : 긴급 ┗ 골프를 함으로써 누리는 효용 : 긴급하지 않음 ④ 욕구 해결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바람직한 goal(목표) 를 이루는 데 필요한 전제조건 or 수단 ∴ 중요하다 (단순한 desire의 만족보다) ⑤ 욕구의 해결은 자발적 선택 → 변경하기가 어렵다 → 상대적으로 다른 대안이 적다 ∴ desire 보다 욕구를 우선적으로 해결할 necessity need이 많다. ⑥ 욕구의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치중립적인 점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⑦ ‘자율’(autonomy)의 측면 - 욕구의 해결을 통해 증가되는 자율 : desire 만족행위를 할 수 있는 전제조건 ex) 절망적인 상황에서의 거래(desperate biddi…(To be continued )
사회복지정책,욕구,노령연금,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욕구-사회적 적절성.hwp( 46 )
Ⅰ. '욕구'와 '바라는 것'의 차이 : 욕구의 속성, , Ⅱ. 욕구의 차원, , Ⅲ. 욕구의 대상 : 자격, , , FileSize : 30K , [사회복지정책] 욕구 : 사회적 적절성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정책 욕구 노령연금
설명
Ⅰ. '욕구'와 '바라는 것'의 차이 : 욕구의 속성, , Ⅱ. 욕구의 차원, , Ⅲ. 욕구의 대상 : 자격, , , 다운로드 : 30K



[사회복지정책] 욕구 : 사회적 적절성
다. * 욕구와 바라는 것의 개념(槪念) 차이 (욕구가 바라는 것보다 중요하다) ① 사람들이 원하는 것 이상의 goal(목표) 달성과 객관적인 의미에서의 가치 - 시장기제에서 자원의 배분 : 주관적 → 실제로 그 사람들에게 만족을 주는지의 여부 불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