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문제와 대안의 모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3 21:10
본문
Download : 새만금 문제와 대안의 모색.hwp
하지만 1998년 감사원 특별감사 결과, 농지의 경우 6조원, 전라북도가 바라는 대로 산업용지의 경우 29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밝혀졌다. 전북도민들도 government 로부터 지역 경제발전이라는 장밋빛 환상만을 일방적으로 쇠뇌 받아왔지, 이 사업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와 environment재앙, 지역공동체가 안아야 할 크나큰 부담에 대상으로하여는 전혀 들은 바 없었다.
제 1 장 서론
제 2 장 본론
2-1절 새만금 실태
2-2절 새만금간척사업의 property(특성)
1. 발전의 상징으로서의 대규모 간척
2. 정치적 성격을 지닌 새만금간척사업
2-3절 새만금 갯벌의 중요성
1. 갯벌의 중요성
2. 안전한 해산물 먹거리를 제공해 주는 식량창고, 새만금 갯벌
2-4절 새만금 사업의 drawback(걸점)
1. 사업목적을 완전히 상실한 새만금 간척사업
2. 새만금 간척사업과 신자유주의적 농업 구조조정, 그리고 전라북도 소농의 운명
3. 새만금간척사업을 중단해야하는 이유들
2-5절 새만금사업에서의 environment운동의 성과와 한계
2-6절 대안을 위한 논의
1. 대안을 위하여
2. 정책의 제안
제 3 장 conclusion(결론)
1991년 새만금 간척사업이 처음 된 이래로 현재 11년을 맞이하고 있따 새만금 간척사업은 노태우 government 의 공약사업으로 특히 전라북도를 겨냥한 선심성 행정에서 비롯되었다. government 와 전라북도는 공사가 70%가량 진행되었으니 중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레포트/인문사회
새만금그문제와대안의모색
새만금 문제와 대안의 모색
순서
다.
현재 소요된 사업비는 1조 …(생략(省略))
Download : 새만금 문제와 대안의 모색.hwp( 65 )






새만금 간척사업의 특징과 문제점,대안을 모색한 자료입니다. 그러나 방조제 공사만 60% 진행된 것이지 실제 감사원이 지적한 내부개발공사까지 합하면, 사업비 대비 20% 정도만이 진행된 상황이다.
사업 처음 전 엉터리 environmenteffect(영향) 평가와 경제적 타당성 결여 등의 많은 drawback(걸점)을 안고 처음 된 새만금 간척사업은 애초 2001년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사업의 타당성 자체가 결여된 상황에서 무리하게 추진되어 완공시기가 계속적으로 늦어지고 있따 처음 1조 3,000억원 이었던 공사비 또한 6조원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감사원의 지적이 현실로 되고 있따
새만금 간척은 만경강과 동진강 이라는 중요한 2개의 강이 만나는 총 40,100ha의 갯벌과 바다를 막는 사업으로서 현재 방조제 33km 중 23km정도가 완성된 상태이다. 지금이라도 공사를 중단하면 국제적으로 중요하다는 새만금 갯벌은 현세대와 우리 未來(미래)세대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게된다
제 2 장 본론
2-1절 새만금 실태
1991년 선심성 공약사업으로 처음 된 새만금 간척사업은 올해로 12년째를 맞이하고 있따 당초 1조 3천억 원이었던 총 사업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현재 3.5 배인 4조 6,570억 원(방조제 공사비용: 1조 9,418억 원, 내부 간척비용: 1조 3,152억 원, 수질改善(개선) 비용: 1조 4천억 원)까지 증가하였다.새만금그문제와대안의모색 , 새만금 문제와 대안의 모색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새만금 간척사업의 특징과 문제점,대안을 모색한 자료(data)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