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권의 회계원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3:24본문
Download : 영업권의 회계원칙.hwp
,경영경제,레포트
② 초과이익(excess earnings)의 현가 또는 초과이익의 자본화
기업의 기대되는 future 이익이 정상이익을 초과할 경우 초과이익이 생기게 되는데, 이 초과이익을 할인한 현가가 영업권이라는 것이다.
※. drawback(걸점)
ⅰ. 측정(測定) 이 인위적(artificial)으로 이루어진다.영업권의회계원칙 , 영업권의 회계원칙경영경제레포트 ,
순서
설명
Download : 영업권의 회계원칙.hwp( 60 )
영업권의 회계원칙에 대한 글입니다. 다른 기업보다 점포의 위치가 좋거나, 더 좋은 경영진을 갖고 있거나, 보다 탁월한 생산비법을 갖고 있는 것은 초과이익력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투자자ㆍ경영자ㆍ회계사 어느 누구도 영업권을 정확히 평가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ⅱ. 기대되는 future 이익의 추정에 불확실성이 있고, future 이익의 추정에 있어서 가변성(variab ility)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아
초과이익의 concept(개념)에 의한 영업권의 측정(測定) 이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도입되지 않는 것도 future 이익에 대한 추정에 불확실성이 개재되기 때문일것이다
3) 현재의 회계실무
영업권은 유상취득에 의한 매입영업권(purchased goodwill)의 경우에만 계상할 수 있도록 허용되고 있고, 내부적으로 개발한 자기개발영업권(self-developed goodwill)은 계상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아
상법 제452조의 ⑥에서는 “영업권은 유상으로 승계…(skip)
레포트/경영경제
영업권의 회계원칙
다.
기업이 초과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이익력(excess earning power)이라고 하는데, 정상이익(normal earning)보다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즉 추가적 이익(extra earnings)을 얻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영업권의회계원칙
영업권의 회계원칙에 대한 글입니다. 투자자의 관점에서 보면 기업의 전체가치란 투자자가 주관적으로만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기업의 future 현금흐름, 기대되는 기회이익률(expected opportunity rate of return), 개인적 효용위험함수(personal utility risk functions)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초과이익을 자본화하여 영업권을 측정(測定) 함으로써 기업의 전체가치의 일부를 배분하려고 하는 것은 인위적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