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뛰세의 철학의 전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06:27
본문
Download : 알뛰세의 철학의 전화.hwp
-----------------------------------------------------------------
2.
초기 알뛰세는 {For Marx}와 {Reading Capital}에서 철학을 `theory 적 실천의 theory `으로 정의(定義)하면서 역사(歷史)주의적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하였다. 두번째 개입은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과 후기 저작의 맞부딪침의 영역에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서, `인식론적 단절` concept(개념)을 통해 인간주의를 비판하는 것이다.
루카치 등 역사(歷史)주의자들은 역사(歷史)적 총체를 구성하는 제 요소들의 동시대성(contemporaneity)을 가정한다. 지식과정은 일반성Ⅰ(추상적 원재료)에 일반성Ⅱ(지식의 생산수단)을 가해 일반성Ⅲ(사유-내-구체, 즉 …(省略)
Download : 알뛰세의 철학의 전화.hwp( 64 )
,인문사회,레포트


알뛰세의 철학의 전화
순서
알뛰세의 이론적 작업은 당시의 이론적-이데올로기적 국면, 즉 스탈린 사후 소련공산당 20차 대회에서 개인숭배 비판과 China공산당과 소련공산당의 분...
알뛰세의 이론적 작업은 당시의 이론적-이데올로기적 국면, 즉 스탈린 사후 소련공산당 20차 대회에서 개인숭배 비판과 중국공산당과 소련공산당의 분... , 알뛰세의 철학의 전화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
레포트/인문사회
알뛰세의 theory 적 작업은 당시의 theory 적-이데올로기적 국면, 즉 스탈린 사후 소련공산당 20차 대회에서 개인숭배 비판과 china(중국) 공산당과 소련공산당의 분열이라는 국면에 대한 개입이다. 스탈린 교조주의에 대한 우익적 비판은 `자유주의적`이고 `도덕적`인 경향을 불러 일으켰는데, 이것은 소련에서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지양과 전인민의 국가론으로, 서구 공산당에서 기민당과의 통합과 사회주의로의 평화로운 이행이라는 `휴머니즘적 경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은 theory 적 실천의 고유성을 부정하고 theory 적 실천을 역사(歷史)적 실천으로 환원시킨다. 이들에 따르면 지식은 현실적 대상 속에 이미 현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기능이란 단지 비본질적인 것을 제거하고 본질적인 것을 `추출`(extraction)하는 과정에 불과하다. 첫번째 개입은 마르크스와 헤겔의 맞부딪침의 영역에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서, `theory 적 실천`의 concept(개념)과 `모순과 과잉결정`이라는 concept(개념)을 통해 루카치 등의 역사(歷史)주의를 비판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험한 경향들에 대해 알뛰세는 `이중적 개입`을 시도하였다.
이에 대해 알뛰세는 지식의 대상과 현실적 대상을 구별하여, 현실적 대상에 대한 지식이 생산되는 과정(theory 적 실천)과 현실적 대상 자체가 생산되는 과정(역사(歷史)적 실천)은 서로 다르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