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계의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23:48
본문
Download : 소화기계의구조.hwp
상행결장은 회장맹장판막으로부터 간엽 굴곡까지이다.
소화기계의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횡행결장은 약간 왼쪽 위쪽에서 왼쪽으로 십이지장 앞면을 지나간다. 직장벽의 원위부에는 세로주름인 직장기둥이 있고 이것은 판막이라 불리우는 직장 가로주름에 의해서도 연결되어 있다 판막에 의해 주머니가 생기며 이것을 동이나 움이라 한다.
맹장에 이어지는 결장은 상행결장(길이 약 20 cm) ·횡행결장(길이 약 50 cm) ·하행결장(길이 약 25 cm) ·S상결장(길이 약 45 cm) 등으로 구분된다된다.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S자 결장에서부터 항문까지 뻗어 있으며 두 개의 조임근이 항문의 개구를 조절한다. 횡행결장의 장간막은 길어서 이 결장 부분의 이동 범위는 넓다.
아래로 주머니처럼 늘어진 곳으로 회장으로의 역류를 방지한다. 항문개구부의 바깥부분은 피부 주름으로 되어 있고 …(skip)
설명
Download : 소화기계의구조.hwp( 43 )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소화기계의구조
소화기계의구조
소화기계의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소화기계의구조 , 소화기계의구조의약보건레포트 ,
다. 길이는 약 20 cm이다. 상행결장은 앞면과 양쪽 면만이 복막으로 덮여 있고 장간막은 없다. 맹장 안쪽 뒷벽에서는 길이 약 8~9 cm, 굵기 0.5~1 cm의 맹관, 즉 충수가 나와 있다 사람이나 유인원에서만 충수를 명료하게 볼 수 있으나 맹장은 파충류도 가지고 있다 오른편의 상전장골과 배꼽을 잇는 선 위에 오른쪽에서 거의 1/3 정도 되는 복벽점에 충수가 있는데, 이 점을 맥버니점(McVurneyꡑs point:압통점)이라고 한다. 그러나 충수의 위치는 사람마다 다르다. S상결장도 장간막이 길어서 가동성이 크다. 횡행결장의 위쪽 앞부분은 간 ·쓸개가 오른쪽에 닿아 있고, 다른 부분은 대개 위장의 대만과 비장이 접하여 있다 앞벽은 위장에서 내려오는 대망이 있어서 앞복벽과의 사이를 떼어 놓고 있다 하행결장은 대장의 가장 좁은 부분으로 좌측 비굴곡에서부터 하행하여 좌장골와에 이르기까지이다.하행결장도 앞면만 복막으로 덮여 있다 S상결장이 처음 되는 곳은 명료하지 않지만, 왼쪽 대요근의 앞쪽에 있고, S자 모양으로 구부러져서 천골의 갑각왼편에서 직장으로 옮겨진다.
직장은 거의 천골의 전면 정중선을 내려가 항문이 된다된다.